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받으리라.(행 10:13)

때가 찼고,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으니, 회개하고, 복음을 믿으라.,

Everyday, people who encounter miracles,,,

2025/07/22 2

윌로우크릭 교회의 실패와 교훈(Willow Creek Church's failures and Lessons.)

윌로우크릭 교회의 실패와 교훈 미국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교회 중의 하나로 손 꼽혔던 윌로크릭 교회는 지난 30년간 소그룹과 현대적 예배, 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미국 교회 성장의 모델이 되어 왔었다. 윌로우크릭 핵심 사역자들이 지난 3년간 조사를 거쳐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는데 이 사역자들은 '교회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제자가 되는 것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며 "이제는 방향을 바꿔야 할 때"라고 결론을 내렸다고 한다. 담임교역자인 빌 하이벨스 목사는 "충격적"이라며 "실수했다"고 고백했다. 그는 "영적 성장은 훌륭한 교회 프로그램에서 나오는 게 아니고 기도, 성경읽기, 교제라는 원리에서 비롯된다'며 "아이러니컬하게도 이런 기본적 훈련은 그다지 많은 돈과 시설을 요하지 않는다..

지금은 마켓팅 교회가 텅 빌때 입니다(Now is the time for the markting church to be empty.)

“한국교회는 이제 비어가는 교회를 어떻게 채울 것인지 고민할 때가 되었습니다. 마케팅으로 교인들을 채우는 때가 지나고 있습니다. 미국교회는 2005년을 정점으로 마케팅 교회가 성장하지 않고 있습니다. 한국교회도 그와 같은 길을 걷게 될 것입니다.”최근 출간기념 기자간담회에서 김남준 목사(열린교회)가 한 지적이다. 기독교인들의 신앙무기력증을 진단하고 그 원인을 ‘싫증’이라는 단어로 압축해 책을 낸 김남준 목사는 21세기 한국교회가 번영신학을 통해 꾸려지고 있다고 말했다.김남준 목사는 한국교회의 성장은 60년대 성령운동, 80년대 제자훈련, 90년대 마케팅을 통해 이뤄졌지만 그것도 한계에 부딪치면서 이머징교회로 옮기고 있다고 분석했다.“한국교회는 20년 정도의 간격을 두고 완만하게 미국교회를 따라갔습니다...

**좁은 문으로 2025.07.22